본문 바로가기
  • 수리야나마스카라사나
사회학

사회학 -1

by 나마스떼_()_ 2022. 11. 25.
반응형

 

 

 

 

사회학이란?   사회학의 목표

 

 

사회학은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와 왜 그렇게 사는지를 사회와 연관 지어서 설명하는 학문이다.

사회학의 목표는 인간 사회를 연구하여 미시사회학인 부분에서부터

거시적인 단계에 이르기까지 사회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다.

 사회학에서는 다양한 사회 연구 기법을 이용하여

경험적인 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사회학은 이러한 의미에서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다루어진다.

전통적으로 사회학은 양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계량적인 방법으로

계급과 같은 사회 계층, 사회 이동성, 종교, 세속화, 법률, 문화, 일탈, 근대성 등을 연구했다.

사회학은 방법론이나 탐구 주제 면에서 매우 광범위한 학문이다.

최근 들어 사회학의 연구 분야는

의학, 군사, 처벌과 같은 각종 사회 제도와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사회관계, 과학 지식과 같은 지식 체계에까지 확장되고 있다.

최근에는 에이전트 기반 모형이나 사회 네트워크의 분석을 위해

수학적 방법과 컴퓨터 연산 기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연구 분야가 광범위한 만큼 연구의 기법 역시 다양하여

언어적 방법, 문화적 방법, 이해사회학, 철학적 방법 등이 사회학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사회학이 어떤 학문인가를 한마디로 말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사회학의 내용이나 과제에 대해서도 상당히 모호한 점이

해결되지 않은 채 남겨져 있다고 생각되는 까닭이다.

사회학이 무엇을 대상으로 하며,

이 대상을 어떠한 방법으로 연구하는가에 대하여

학자들 사이에도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간단히 사회학의 정의를 내린다면,

인간과 사회의 관련을 중심으로 하여

사회적인 공동생활의 이 법을 밝히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사회의 구조와 변동 및 그 밑바닥에 있는

인간의 사회적 행위를 연구하는 특수 사회과학이라 하여도 좋을 것이다.

 

우리들의 사회적인 공동생활을 살펴보건대,

거기에는 경제·정치··교육·도덕·종교·예술 등 갖가지 영역이 있고,

이들 영역을 통하여 다종다양한 집단이나 제도가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이들 집단이나 제도는 인간의 행위가 지탱되면서 존속하또 변동한다.

경제학이나 정치학 등이 서로 교착하면서도

그 인식의 중심점으로 보아,

평면적으로 대상 영역을 나누는 것이라고 한다면,

사회학은 이들 대상 면 전체에 나타나 있는

인간 생활의 공동을 인식과제로 삼는 까닭에

다른 사회과학들과 달리 대상을 입체적으로 나누는 셈이다.

 

사회학의 초점

사회학의 초점은 처음부터 사회생활의 전반에 걸친

'생활의 공동'에 있으므로,

여러 사회과학 안에 특이한 위치를 차지한다.

경제학·정치학·법학 등의 학문은 

이처럼 서로 관련하는 여러 영역을 각각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

말하자면 '세로로 자르는' 학문인 데 반해,

사회학은 그들 여러 영역에 걸쳐  그 밑바닥에 있는

집단·제도·행위에 연구의 초점을 둔다는 뜻에서 말하자면

'가로로 자르며 보는' 학문이라 하겠다.

 

사회학은 경제학·정치학·법학·교육학 등 여러 과학과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연구를 수행하여야만 한다.

사회학의 기본적인 문제는 사회와 개인의 문제이다.

이 점에 관해서는 지난날에 양극적인 견해가 있었다.

하나는 개인을 사회에 우선시키는 사회명목론의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를 인간적 개체를 초월하는 것으로 보는 사회실재론의 입장이다.

 이 두 가지 입장은 오늘날 모두가 극복된 듯하다.

개인의 실재는 물론 부정할 수 없는 일이나,

 개인 자체는 사회적으로 형성된 퍼스널리티를 가지고 집단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사회적 인간이며,

이 사회적 인간이 그를 형성하며 제약하고 있는 사회를

역사적으로 바꾸어 가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와 같은 기본적 관점으로부터 사회학의 연구내용

구조적으로 크게 나눠,

퍼스널리티·집단·문화 등 3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하겠다.

 

사회학 연구의 첫 출발점은 구체적인 인간의 사회적 행위의 분석이다.

 사회적 행동양식의 연구가 인간의 퍼스널리티 형성의 이론이 되며,

나아가서 사회적 성격의 이론으로 전개되는 것이다.

 

 사회학의 중심적 과제라고도 할 만한 집단의 연구이다.

인간의 사회적인 공동생활은

여러 가지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행하는 생활인 까닭이다.

사회학은 여러 가지 집단에 대하여 유형에 따라 분석하는 동시에

집단과 집단 사이의 관련도 밝히려 한다.

특히 '집단 분출'의 시대라고도 불리는 현대의 사회가

한편으로는 인간을 대집단으로 조직화하며 관료제화를 진행하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대중 사회학적 상황을 가져오고 있는 문제점은

오늘날의 사회학에 대하여 중요한 연구내용이 된다.

 

 사회의 문화적인 측면에 관한 연구이다.

즉, 사회적 소산으로서의 문화와 사회와의 관련이 문제가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문화는 넓은 뜻의 문화이거니와,

기술혁신이 행해지고 대중전달의 기능이 더욱 주목되는

현대 문화를 둘러싸고 일어나는 문제도 끝이 없다고 하겠다.

 

사회학은 이상과 같은 내용을 실증적으로 연구하려고 한다.

실증적 연구는 실증주의를 표방한 초창기 이래의 사회학의 전통이다.

1920년대 이후 미국에서 특히 발전되어 온

사회조사법은 사회학의 '실증과학'적인 성격을 높이기 위해

더욱 다듬어져야만 하는 연구법인 것이다.

관리사회, 또는 정보화 사회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그것은 공업화와 도시화가 끊임없이 진행되는 가운데

인간이 스스로 필요한 정보를 얻고 이에 기반해 판단 행동할 수 있는 사회이거나,

기구의 톱니바퀴처럼 되어 가는 사회이며,

방대한 양의 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모이며 처리되는 사회이다.

어떻게 인간다운 생활을 제대로 영위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은

현대인에게 커다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현대의 사회생활에 대한 과학적인 식견을 넓히고

올바른 진단을 바탕삼아 적절한 치료를 베푸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 사회학적인 사물 관찰이나 대처방식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반응형

'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학-4  (0) 2022.11.29
사회학-2  (0) 2022.11.29
사회학 6 - 사회구성주의와 구조주의.  (0) 2022.10.25
사회학 5 -실증주의와 해석주의  (0) 2022.10.25
사회학-3  (0) 2022.10.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