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수리야나마스카라사나
사회학

사회학-2

by 나마스떼_()_ 2022. 11. 29.
반응형

 

 

 

 

사회학의 탄생

 

 

사회학은 근대사회의 과학적 자각으로서 태어났다.

사회학의 성립에 대하여는 학자에 따라 견해가 갈라져 있는데,

 프랑스의 콩트가 그의 저서에서 비로소 '사회학'이란 학문 명칭을 사용하고,

의식적으로 이것을 체계화하였을 때 성립하였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리하여 발족한 사회학은 영국에서는 스펜서에 의하여,

독일에서는 슈타인과 섀플레에 의하여,

시대는 좀 지나 미국에서는 워드에 의하여 발전의 초석이 되었다.

콩트에서 시작하는 이들 초기의 사회학은 대부분이

자연과학 특히 생물학의 영향을 받아서 사회를 생물유기체와 비교하면서 

해부학·생리학에도 비할 만한 사회 정학과 사회 동학이란 22 부문으로 구성되고 있었다.

그리고 그 동학에 있어서 진화론적인 사회발전의 법칙을 구하려 하였고,

사회개조에의 실천적 의도를 다소 가지고 있었다.

게다가 이 점과도 관련되지만,

사회현상의 포괄적인 인식을 목표 삼고,

사회학을 사회과학 그 자체 또는 사회과학 전체의 기본 과학이라 생각하였다.

이러한 입장은 종합 사회학이라 불린다.

사회를 인간 심리의 상호적 교섭으로서 파악하는 견해는 사회학을

심간 심리학이라 본 프랑스의 학자 타르드에 의하여 터전이 되었다.

 

이 같은 심리학적 사회학은 영국에서는 호프 하우스,

미국에서는 기딩스에 의하여 전개되었다.

공동사회와 이익 사회의 개념으로 유명한

퇴니스의 사회학, 인간의 사회적 행위를 이해한다고 하는 뜻에서

'이해 사회학'이라 불린 막스 베버의 사회학 등도

넓게 보면 심리학적인 사회학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초기의 종합 사회학은 '형식 사회학'을 창시한 지멜에 의하여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에 의하면, 사회학이 독립된 과학이 되려면

다른 여러 사회과학이 '사회의 내용'을 다루는 데 반해

'사회화의 형식'을 다루어야만 한다는 것이었다.

물론 이와 같은 생각은 극단적이라 하겠고,

이 시대에도 뒤르켐처럼 '사회학 주의'의 입장에서 여러 사회과학을

사회학의 한 분과로 보며 종합 사회학의 전통을 남긴 학자도 있다.

그러나 그 흐름은 심리학적으로 사회를 설명하고,

어떤 형식으로든 사회학을 사회과학의 하나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인 것이 되었다고 하겠다.

이리하여 사회학은 훌륭히 학문으로서 진보했다고 하겠는데,

현대의 사회학은 20세기 전반의 성과 위에서 착실히 전진하고 있다.

종합 사회적인 초기의 사회학은 폭이 넓을 뿐 내용은 비었다고 하는 비판을 면할 수 없었고,

사회를 생물유기체와 비교하여 논하는 데에도 무리가 있었다.

그 때문에 사회학은 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걸쳐서 크게 전환해야만 했다.

생물학적인 방침에 의한 사회 유기체설이 무너지는 동시에 생기는

'심리학적 사회학'과 종합 사회학에의 반성적 비판의 결과로 나타나는

개별 과학으로서의 사회학, 이 2가지가 그 후의 발전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현대의 사회학에서는 사회학 왕국으로서의 미국의 영향이 아주 강하다.

심리학적인 방침은 계속 우세하며, 사회심리학과 사회학은 서로 스며들고 있다.

문화인류학 또는 사회인류학과의 교류도 현저하다.

또한 사회조사법의 진보로써 실증 과학에의 경향이 강하며,

단편적인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론 없이 행해져 온 경향도 이름 있는 학자들에 의하여 계속 시정되고 있다.

그리고 현대의 사회학은 연구자가 많아짐에 따라서  그 내부에 분업을 낳고 있다.

즉, 연구영역에 따라 각종의 분과 사회학이 전개된다

도시사회학·농촌 사회학·가족사회학·산업 사회학·교육사회학·법사회학·정치사회학·종교사회학 등.

20세기의 30년대까지는 어느 편인가 하면 유럽,

그중에서도 독일이나 프랑스의 사회학이 학설의 무게로 보아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나치 때문에 억압받아 온 독일 사회학의 쇠퇴도 작용하고 해서

사회학 교직자가 얼마 되지 않았던 유럽은 점차로 사회학의 연구상 많은 미개척 분야를 가지며,

대학에서 다수의 사회학자를 보유할 수 있었던 미국에 압도당하게 되었다.

 

 

 

현대사회학의 발전

 

현대사회학의 이 같은 발전은 미국만의 일이 아니라 전 세계에 미치고 있다.

2차 대전 후에 조직된 국제사회학협회에는 세계 각국의 사회학자들이 참가하고 있는데,

대한민국도 1966년에 가입하였다.

동양권에서 사회학의 시작은 일본이 메이지 유신으로 개혁되면서

신문물을 받아들이면서 시작되었으며 일본에서 동양에 존재하지 않던 개념인 Society의 번역을

사회로 하여 사회학이 되었다.

 

 

사회물리학

콩트가 사회학을 지칭하여 사용한 용어이다.

자연과학을 모델로 삼아 경험적·실증적 연구 방법을 취하였기 때문에 사용한 용어이다.

 

사회 유기체설

 

사회의 구성을 생산 유기체와 유사한 것으로 보고,

이에 근거하여 유추적으로 사회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려고 하는 사회 실재론의 한 형식으로,

자본주의의 모순을 제거하고 새로운 질서화를 위해 등장하였다.

 

 

이해 사회학

 

베버의 관점에서 사회학은 '사회적 행위를 해석하면서 이해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 경과와 여러 결과를 인과적으로 설명하려고 하는 과학'이다.

이해 사회학이라 불리는 베버 학설의 특색은

'행위자에 의하여 주관적으로 생각된' 의미의 이해에 있다.

여기에 그는 이른바 '이념형'의 개념을 만들어냈는데,

그것은 가치적인 어떤 견지에서 현실의 현상을 이념적으로 뽑아내어 형성되는 것이다.

 

 

심리학적 사회학

 

사회현상의 결정요인 또는 설명 요인으로서 심리적 요인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견해의 사회학이다.

프랑스에서 이 입장을 대표한 타르드는 모든 사회현상 중에서

사회학의 대상이 될 '순수하게 사회적인 것'을 빼내어 이것을 두 사람 사이의 심적 관계로 설명했다.

이 관계는 한 사람이 타인을 반영하는 관계, 즉 모방이다.

따라서 타르드는 모방이 있는 곳에 사회현상이 있다고 했다.

미국의 경우 기딩스의 동류의식에 의하여 인간의 사회적 활동을 설명하려 하였고,

쿨리는 사회현상은 원래 의식 현상이므로 내면적으로 고찰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들 이외에도 미국에 있어서는 이 견해를 밝히는 학자를 많이 볼 수 있다.

이 입장은 엄밀한 뜻으로 보면,

종합 사회학이 쇠퇴한 후 차차 사라지고 그 계열은

사회현상의 심리적 측면을 중시하면서 이런 연구에 자기를 한정시키는

개별 과학으로서의 사회심리학에 흡수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반응형

'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학-4  (0) 2022.11.29
사회학 -1  (0) 2022.11.25
사회학 6 - 사회구성주의와 구조주의.  (0) 2022.10.25
사회학 5 -실증주의와 해석주의  (0) 2022.10.25
사회학-3  (0) 2022.10.18

댓글